MSSQL을 사용하다 실행했던 쿼리를 봐야할 일이 있어서 찾은 내용이다. 실제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조회해본 결과 약 5일 전까지 실행했던 쿼리만 조회가 되는 것 같다. (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) 그리고 구글링해서 본 글들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된 쿼리는 안나오고 studio에서 실행한 것만 나온다는데 나는 왜 다 나오는지 모르겠지만... 알아서 잘 발라내서 사용 중. 실행했던 그대로 안나오고 where 절에 들어가는 변수 부분들은 @P0 처럼 가려져서 조회되는 경우도 있다. 아래 쿼리에서 where절 내에 있는 db_name, creation_time은 내가 조회하기 편하려고 넣은 부분이므로 필요 시에만 사용하면 될듯하다. SELECT db_name(st.dbid) DBName , object_..
일하다가 모든 table에 대한 column과 description을 정리해야 할 일이 생겼는데 postgreSQL이라 그런건지 구글링을 덜한건지 내가 원하는걸 딱 못찾아서 구글링한걸 바탕으로 쿼리를 짰다. 아직 좀 수정해야할 부분이 있지만 일단 올려두고 고치든지 해야겠다. 더 깔끔하게 짜고싶은데 능력부족ㅠ 수정 다 해두었으니 필요한 부분만 선택해서 쓰면 될 듯! 밑줄친 부분에 알맞는 값을 넣어서 쿼리를 실행하면 된다. -- table 목록 조회 쿼리 -- SELECT * FROM information_schema.tables WHERE table_schema = '스키마 이름' AND table_type = 'BASE TABLE'; -- table description 조회 쿼리 -- SELECT de..
DB 쿼리문을 짤 때 해당 컬럼에서 최댓값을 가져오는 max() 함수나 최솟값을 가져오는 min() 함수는 자주 써봤을 것이다. 하지만 최댓값, 최솟값만이 아니라 그 값을 가지고 있는 row의 다른 컬럼들이 필요할 때가 있다.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겠지만 내가 생각한 세가지 방법 정도만 설명해보겠다. 기존에 작성한 방법 중 몇가지는 결과값이 하나일 때만 적용되는 방법이라, 내용을 수정하였다. 이전 작성글은 아래 펼치기로 확인 가능하니 참고용으로만 보면 될듯하다. 아래와 같은 기본적인 employee 테이블로 예를 들어보겠다. name number salary 김 40 30000 박 23 35000 이 51 25000 이 테이블에서 salary가 max, min값인 사람의 이름과 사번을 select..